제가 모든 일의 중재자가 될 수는 없습니다. 
						어떤 일은 자연스럽게 
						흘러 갈 수 있도록 지켜봐 주는 일, 
						그것만 잘 해도 순리대로 풀리곤 합니다. 
						  
						하지만 어떤 일에 대해서는 
						누군가가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서야만 
						풀리기도 합니다. 
						  
						누군가가 그런 이야기를 했다고 하지요. 
						"사제는 매듭을 풀어주는 사람"이라고. 
						  
						얽히고설킨 인연들이 참 많습니다. 
						때로는 오해에서 비롯되어 
						꼬이고 꼬인 가닥이 
						전혀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 
						그런 인연들의 모습을 볼 때가 있고, 
						때로는 사소한 서운함에서 비롯되어 
						온통 헝클어져 버린 
						그런 인연들의 모습을 볼 때도 있습니다. 
						  
						사실 그런 인연들 중에는 
						누군가가 가위를 들고 완전히 잘라내어 
						새롭게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인연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늘 속앓이를 하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혹시 저도 그런 인연들이 있었나 
						생각해 봅니다. 
						  
						솔직히 저는 
						가능하면 인연 자체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 모습 때문인지 어떤 분이 저에게 
						"신부님은 다가가려고 하면 
						자꾸만 뒤로 물러서는 것 같아 
						때로는 차갑게 느껴지기도 한다."는 
						이야기를 하시더군요. 
						  
						어쩌면 맞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조금 더 정이 깊은 인연이 되는 걸 
						스스로 경계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렇다고 
						사람을 기피하는 것까지는 아니지만 
						스스로 어떤 경계선을 그어놓고 
						사람을 대하는 경우가 분명히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누군가에게 어깨를 내어주는 
						그런 사람은 결코 되지 못할 것 같습니다. 
						  
						그런 면에서 본다면 
						저는 감정적으로 좀 메마른 편입니다. 
						  
						하지만 그런 덕분에 
						모든 사람들을 별다른 차이 없이 
						친절하게 대하는 편이기도 합니다.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제가 그 사람에 어떤 마음을 품고 있든지 
						늘 웃는 낯으로 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그 사람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친절하게 다가선다는 건 
						어쩌면 위선적인 모습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건 확실히 위선입니다. 
						그렇지만 좋아하지 않는 그 마음조차도 
						오래 간직할 것이 아니니 
						굳이 그것을 드러내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찌 되었건 
						가끔은 제가 신부라는 것 때문에 
						저에게 상담을 하거나 
						속 깊은 이야기를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런데 저 역시 
						해답을 알려드릴 수 없는 상황이 
						되기도 합니다. 
						  
						그저 같이 한숨만 내쉴 뿐, 
						더 이상 할 수 있는 일이 
						아무 것도 없을 때도 있습니다. 
						  
						특히 사람들과의 관계, 
						혹은 인연에 관한 이야기이면 
						더욱 그렇습니다. 
						왜, 인연의 실타래는 
						엉키는 경우가 더 많은 걸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