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요즘에는 
						꾸준히 일기 형식의 글을 남기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물론 계속 지속될 수 있을지는 
						솔직히 알 수 없습니다만. 
						  
						수요일 저녁에 
						전례부장님과 청년 전례봉사자들이 
						함께 식사를 하는 곳에 다녀왔습니다. 
						  
						확실히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된 듯, 
						옷깃을 절로 여미게 만드는 
						칼 같이 추운 날이었지만 
						그래도 이런 겨울의 모습을 
						은근히 기대했음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추운 날씨여서 그런지 
						지나가는 사람들의 발걸음조차도 
						여유 있는 걸음이 아니라 
						종종 서둘러 가는 걸음이었습니다. 
						  
						온도계는 영하 6도를 가리키고 있었으니 
						제법 추운 날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그래도 식당에는 손님들이 꽤 많더군요. 
						  
						전례봉사를 하는 일은 
						사실 그리 쉬운 일은 아닙니다. 
						  
						아무래도 복사를 서기 위해서는 
						한 번 더 미사의 모든 부분을 떠올려야 하고, 
						독서를 하기 위해서는 
						한 번 더 성경을 읽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시간을 내어주는 일이야말로 
						가장 커다란 봉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오래 전부터 전례봉사를 해 오셨고, 
						또 이미 숙련되신 분들에게는 
						그리 힘든 일이 아닐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미사는 
						그냥 가만히 앉아서 듣거나 보는 
						콘서트나 연극, 영화와는 
						또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선포의 성격이 강하고, 
						참여의 성격이 훨씬 더 강하지요. 
						  
						이미 오랫동안 봉사를 하신 분들 중에서는 
						이제 전례봉사는 젊은 사람들이 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봉사에 젊고 나이 들고의 차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 많이 했으니 
						이제는 좀 쉬고 싶다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성당의 일이라는 게 늘 그렇습니다. 
						봉사를 하는 분들은 열심히 봉사하고, 
						그렇지 않은 분들은 
						한 발자국 물러서서 바라보는 구조. 
						  
						이 구조를 바꾸기 위해 
						수많은 노력들이 있었지만 
						실제로 효과를 거둔 적이 없을 정도로 
						안타깝지만 정형화된 구조입니다. 
						  
						그래서 조금 만족스러워 하지 않는 
						신자분들도 많지만 
						지금 당장에는 
						어쩔 수 없는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함께 조금이라도 참여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안타깝지만 여전히 봉사를 어려워하는 
						수많은 신자분들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례봉사를 해주시는 분들 때문에 
						미사라는 전례가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