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말 죄송한 이야기이지만
						오늘은 좀 길게 넋두리를 늘어놓을까 합니다.
						 
						한 달에 한 번
						독일어로 미사를 봉헌하고 싶다는
						저의 소박한 마음이
						신자분들의 의견에 따라 부결되었습니다.
						 
						서로 의견이 다른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겠지요.
						하지만 그 과정에서
						몇몇 신자분들은
						제가 함부르크 대교구의 언질을 미리 받고
						앞으로 한인공동체를
						없애기 위한 수순에 들어갔다는
						오해를 하신 분들이 있어서 마음이 아팠습니다.
						 
						신자라고 하시는 분들이
						교회 역시도 세상처럼 어떤 의도를 숨긴 채
						공작을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의 눈초리를 본다는 것 자체가
						솔직히 저에게는 굉장히 실망스러운 일이었습니다.
						 
						한 달에 한 번
						독일어로 미사를 봉헌하고 싶다는 생각은
						올 해 2019년을 시작하면서
						들었던 두 가지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첫 번째는 우리 공동체에는
						독일어가 좀 더 편한 신자가 있다는 것과
						두 번째는
						제가 오스트리아에서 경험한
						독일어로 된 새로운 성가들 중에는
						함께 나누면 괜찮은 성가가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제일 먼저
						제 눈에 밟혔던 분들은
						이정은(프란체스카) 자매님들이
						항상 데리고 오는 5명의 아이들이었습니다.
						 
						이 아이들은
						아직 한국어가 익숙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열심히 미사에 나오는데
						이 아이들이 좀 더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독일어를 한 달에 한 번이라도 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물론 그 아이들도, 그 어머니도
						저에게 어떤 이야기를 한 적이 없습니다.
						 
						다만 저는
						독일어를 어느 정도 할 수 있고
						새로운 독일어 성가에서 좋은 점을 많이 느꼈기에
						그냥 이 노래를 알려주고 싶었을 뿐입니다.
						 
						독일어가 많이 부담스러운 것은
						저 역시 잘 알고 있습니다.
						제가 아무리 독일어를 한다고 해도
						정말로 독일사람들이
						제가 하는 독일어를 알아들을 수 있을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달에 한 번 독일어로 미사를 하자고
						이야기를 드렸던 것은
						저로서도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의 이해를
						구하는 일에서부터 실패를 한 것 같습니다.
						독일어로 미사를 할 꺼면
						왜 한국인 미사에 오겠느냐고
						말씀하시는 분부터
						괜시리 독일어로 미사를 봉헌하다가는
						우리가 설 자리를 잃고 만다고
						말씀하시는 다양한 분들을 만났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혹시라도 미사를
						우리들만의 특권으로 생각하시는 건 아닌지요?
						 
						우리 공동체에는
						한국어보다 독일어가 좀 더 편한 분들,
						독일 분과 결혼하신 분들 등
						다양한 분들이 미사에 함께 하십니다.
						 
						때로는 그런 분들도 배려할 수 있어야 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하는 건 아닐까요?
						 
						물론 어렵습니다.
						저도 독일어로 미사를 봉헌하려면
						하루 종일 미사코덱스를 미리 읽어보아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의견을 제시한 것은
						미사가 우리들만의 미사가 아니라
						근본적으로는
						모든 사람들이 자기네 언어로 알아들을 수 있는
						사도시대의 성령님이 함께 하는 미사였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미 한국어로만 미사를 봉헌하기로
						결론이 난 상황에서
						이런 이야기를 드린다는 것이
						좀 우스운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매 주 하자는 것도 아니고,
						한 달에 한 번 봉헌하자는 이야기였는데
						그것마저도 허락하지 않는
						우리 공동체의 조금은 편협한 마음이
						제 마음을 아프게 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저는
						여러분들이 선택한 결정을 따를 것입니다.
						그러므로
						제가 이런 글을 남기는 것은
						이미 결정된 일에 반발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한 번 쯤은
						이 이야기를 드리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먼저 제가 의견을 냈던 것은
						함부르크 대교구의 숨은 의도가 있었던 건
						전혀 아닙니다.
						 
						순전히 저의 개인적 의견이고
						철저하게 주관적인 판단이었습니다.
						그러니 거기에 대해서
						숨은 의도가 있을 것이라고
						미리 판단하신 분들은
						혹시라도 세상에 살면서
						신앙과 동떨어진 세상에 너무 물들어 있는 건 아닌지
						스스로에게 질문해 보시길 부탁드립니다.
						 
						두 번째 우리들의 공동체,
						우리들의 언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신 분들은
						과연 내 자녀들도 그렇게 키웠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시길 부탁드립니다.
						 
						어쩌면 도발적인 이야기처럼
						들릴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모든 것을 잊어버렸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 글을 씁니다.
						 
						아무튼 저의 의도는
						그랬다는 것을 조금이라도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후로는 더 이상
						이 일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을 것이며
						우리 공동체에서
						불필요한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이제껏 독선적으로 처리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 자리를 빌어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모두 편안하고 행복한 나날 되십시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