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르크 한인 천주교회


로그인

조회 수 12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허가(許哥)의 과부(寡婦)들

                                                                              2009. 10. 8.



지금으로부터 100여 녀 전에 한국의 풍속(風俗)은, 특히 결혼의 풍속은 그 제도

적(制度的)으로 남자는 이혼(離婚)과 재혼(再婚)이 자유스러웠지만 여자들은 재

혼 할 수 없었고, 남자는 재취(再娶)를 할 수 있었지만 여자는 두 사람의 남편을

가질 수 없다는 여불사이부(女不事二夫, 여자는 두 남자를 섬길 수 없다)라는

주자학(朱子學)의 주장으로 과부가 되더라도 개가(改嫁)할 수가 없는 혼인(婚

姻)제도(制度)를 만들어 놓았던 것이다.



그래서 조선시대의 부녀자(婦女子)들은 자연적으로 한 번 혼인하면 종신토록 재

가(再嫁)하지 못하는 것이 그들의 길이었다. 결혼 그 자체도 본인의 의사(意思)

와는 무관하게 부모에 의하여 가문(家門)위주(爲主)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경국

대전(經國大典)에는 결혼 연령(年齡)도 남자는 15세, 여자는 14세로 공인(公認)

하고 있으나 대개 10세도 못 되어 시집가는 것이 관례(慣例)가 되었고, 늦어도

20세 이전(以前)이었던 것이다.



더욱이 약혼만하고 결혼은 하기 전에 신랑이 사고사(事故死)라도 하더라도 과부

와 같이 수절(守節)을 해야 하는 것이었다. 이것이 1400년대 초에서 1895년까지

의 500여 년 간 법제(法制)화 되어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남자들은 일부다처(一

夫多妻)로 처첩(妻妾)을 두기도 했었다.



조선이 일본(日本)에게 망(亡)하면서 법(法)으로는 자유였으나 500여 년이나

내려오던 그 풍습(風習)은 그리 빨리 없어진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1783년도

에 북경에서 영세를 하여 한국에 첫 가톨릭신자가 되던 이 승훈( 베드로, 李承

薰, 1752-1801)이 세례를 받기 전에 축첩(蓄妾)을 않을 서약을 했었다는 것이

다.(조선의 축첩제도를 알던 서양신부가 일부일처(一夫一妻)제도(制度)인 가톨

릭의 혼인법을 위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반대(反對)로 나중에 동정(童貞)을 지키려던 동정녀(童貞女)신자들이 수녀원이

나 기타 보장(保障)된 곳이 없으니 과부라고 자칭하며 신분을 감추고 공동체(共

同體)를 형성(形成)하고 공동생활(共同生活)을 했던 것이다. 그 때에 동정녀들이

과부라고 하면서 죽었다는 남편을 허가(許哥)라고 한 것은 발음이 같은 허(虛)와

연관 하여 특정(特定)한 인물이 아닌 허무(虛無), 즉 아무것도 없다는 뜻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모두 허가의 과부라고 한 것이 아니고 오(吳)가라고도 하는 등 다르게도

했는데 허서방(許書房)을 많이 썼다는 것이다. (김옥희 저, 한국천주교여성사 1,

121-123 면) 그렇게 신분을 과부로 한 것은 미혼으로 살아가기에는 사회풍속이

허용치 않았기 때문이었다.



상당히 많은 동정녀들이 있었고, 그렇게 신앙생활을 하다가 순교(殉敎)와 유배

(流配, 귀양)되기도 하였다. 그 동정녀로 순교한 중에 동정녀로 최초의 순교자

문 영인 비비안나(1775-1801)와 윤 점혜 아가다(1776-1801) 두 분은 순교(참

수)하여 목이 잘리면서 붉은 피가 아닌 흰 피가 솟았다고도 한다. (김옥희 저,

무명의 순교자와 증거자 177-184 면)



불교가 신라에 들어 올 때에 순교자 이 차돈(異次頓, 503-527)의 목에서도 흰

피가 나왔다고 하는 말을 회상(回想)시킨다. 이렇게 허가과부들이 죽어갔다.



                      허심촌(虛心村, http://cafe.daum.net/hsdorf) 김 토마스.

......................................................................................................................


  1. 회원 가입 때 문제가 생기면

    Date2021.09.13 By박철현 Views175
    read more
  2. 긴급 공지

    Date2020.05.09 By박철현 Views321
    read more
  3. 로그인 하셔야만 보실 수 있는 게시판이 있습니다

    Date2018.09.09 By박철현 Views419
    read more
  4. 마음 따뜻한 선물

    Date2016.09.02 By남궁춘배 Views228
    Read More
  5. 동영상<실비단 폭포>

    Date2015.11.16 By남궁춘배 Views485
    Read More
  6. 나라렛에서 ....

    Date2009.10.18 ByThomas kim Views989
    Read More
  7. 글로써 벗을 모으고, 벗으로 인의를 이룬다

    Date2009.07.21 ByThomas kim Views1169
    Read More
  8. 군자는 유어의하고

    Date2009.07.31 ByThomas kim Views1395
    Read More
  9. 교언영색

    Date2009.07.25 ByThomas kim Views1219
    Read More
  10. 공수래공수거

    Date2009.10.05 ByThomas kim Views1138
    Read More
  11. † 부 고

    Date2016.01.13 By남궁춘배 Views501
    Read More
  12. “당신들은 어째서 안식일에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하오?”

    Date2006.09.10 By방문객 Views1132
    Read More
  13. 2016년 교구장 성탄 담화문

    Date2016.12.30 By남궁춘배 Views43
    Read More
  14. 허가(許哥)의 과부들

    Date2009.10.08 ByThomas kim Views1230
    Read More
  15. 하느님이 계신 곳

    Date2009.08.21 ByThomas kim Views11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Next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