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르크 한인 천주교회


로그인

2009.10.03 07:14

강 론

조회 수 10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amote1@chol.com> 2009년 10월 3일 한가위 가톨릭부산 2014호        천 국  맛 보 기
                                                                                  김영곤 시몬 신부

오늘은 한가위. 추석 명절. 생각만 해도 배부른 느낌. 말만해도 넉넉한 느낌.  달만 쳐다보아도 풍성한 느낌. 동양 미인의 전형적인 얼굴, 보름달. 그 아름다움은 어디에 있는 것인가?  바로 풍요로움에 있다. 나누고, 베푸는데 있다. 비록 내가 가진 것이 적어도, 너에게 나누어 줄 것이 많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저 두둥실 떠 있는 보름달 때문이다.  
  
차례를 격식에 맞추어 준비하고 지낸다. 마음을 추스리고 조상들의 음덕에 감사드린다.  깊은 예를 바치는 것은 우리의 미풍양속이다. 조상들을 섬김은 우리들의 오랜 전통이다.  윗대 어른들에 대한 공경과 더불어, 오늘 이 자리에 모인 가까운 친척과 형제들은 어떤가?  좋은 기분에서 만나 좋은 기분으로 헤어져야 하는데, 왠지…. 석연찮음에 우리들의 마음의 실타래가 꼬여 있는 것이다. ‘내가 바라는 만큼 너에게 해주어야 함’을 잘 알건만 내가 바라는 만큼 네가 나에게 해주지 않아 유감이 많다고 하필 우리는 오늘 그 이야기를 하게 된다.  서로가 서로에게 바람과 요구 사항이 많은 만큼, 그만큼 섭섭함도 크단다.  
  
풍성한 마음에 나누어 줄 것이 그렇게 많다고 생각되던 내가, 오히려 받지 못함에 섭섭해 하고 있다.  조상에 대한 섬김은 온갖 예우를 다하면서, 정작 형제들에 대한 섬김은 오히려 받으려하고 있는 나 자신을 본다.  둥그런 보름달이 왜 풍요로움의 상징이 되고, 동양미인의 전형이 되고, 부자집 맏며느리의 얼굴 모습이라고 하는가?  착한 것이 아름다운 것이라는 말과 함께, 아름다운 것이 착한 것이라는 말도 되지 않을까?
  
보름달의 아름다움이 내 마음을 착하게 만들고, 착해진 내 마음이 나눔과 베풂과 섬김이라는 사랑 실천에 앞장선다면, 이 사회는 분명 보름달의 빛을 받아 오늘 저녁이 환하듯이 밝은 사회가 될 것이고, 내 작은 사랑의 나눔이 이웃들의 마음을 훈훈하고 환하게 할 수 있으리라. 자!  동무들아! 손에 손잡고 ‘강강술래’만 할 것이 아니라, 나의 마음과 너의 마음에 사랑의 불을 지피자꾸나. 우리 곁에 따스한 사랑을 기다리며 움츠리고 있는 형제들을 위하여 ‘송편’을 빚자꾸나. 서로 호흡을 맞춰가며 ‘널뛰기’를 하고, 함께 목표를 맞추기 위한 ‘투호’를 하자꾸나. 마음 모아 힘 모아 영치기 영차 ‘줄다리기’로 우리의 공동체가 사랑의 공동체임을 나타내 보자꾸나.
  
오늘은, 사람들아! 둥근 내 얼굴과 함께 입술이 양 귓볼에 닿도록 벙글 벙글 벙그레 웃으며 ‘한사람의 행복이 만인의 행복이 되고, 만인의 행복이 한 사람의 행복’이 되는 그런 공동체를 꿈꾸어 보자. 그래서 오늘이 우리에겐 천국의 첫 날이 되게 하자. 나눔이 넉넉하고, 베풂이 풍성하고, 섬김이 공손한,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사회 속에 우리 모두 격이 있는 사람으로 품위를 갖추도록 하자.  
                                                                                  (오순절 평화의 마을)



  1. 회원 가입 때 문제가 생기면

    Date2021.09.13 By박철현 Views175
    read more
  2. 긴급 공지

    Date2020.05.09 By박철현 Views321
    read more
  3. 로그인 하셔야만 보실 수 있는 게시판이 있습니다

    Date2018.09.09 By박철현 Views419
    read more
  4. 죽음은 원죄의 벌이라고?

    Date2009.09.12 ByThomas kim Views1033
    Read More
  5. 도둑질로 잘 살아 ?

    Date2009.09.13 ByThomas kim Views1160
    Read More
  6. 하기 어려운 말

    Date2009.09.14 ByThomas kim Views1038
    Read More
  7. 나는 세리인가?

    Date2009.09.15 ByThomas kim Views1050
    Read More
  8. 사람의 외형만 보고

    Date2009.09.17 ByThomas kim Views1115
    Read More
  9. 인고단련

    Date2009.09.18 ByThomas kim Views1161
    Read More
  10. 같은 시대에

    Date2009.09.19 ByThomas kim Views1056
    Read More
  11. 한인회 소식

    Date2009.09.21 By남궁춘배 Views1455
    Read More
  12. 강 론

    Date2009.10.03 By남궁춘배 Views1050
    Read More
  13. 공수래공수거

    Date2009.10.05 ByThomas kim Views1138
    Read More
  14. 허가(許哥)의 과부들

    Date2009.10.08 ByThomas kim Views1230
    Read More
  15. 일기만 해서야

    Date2009.10.11 ByThomas kim Views11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297 Next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