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르크 한인 천주교회


로그인

조회 수 15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ttp://cafe.daum.net/awg <에밀리님의 선교교실>성경을 새로 장만하셨거나, 구입하실 분들을 위하여 알려드립니다.
바뀐 성경에 생소한 내용의 용어가 다수 출현합니다.  성경읽기에 참고가 될 것입니다.

▨ 새 성경에서 달라진 것들
▲야훼 → 주, 주님, 하느님  하느님의 이름인 ‘야훼’를 ‘주, 주님, 하느님’으로 바꾸었다. 이는
△우리는 이스라엘인들과 달리 하느님의 고유한 이름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고
△우리나라에서는 예의상 어른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으며
△우리 언어 관습상 많은 경우 이름을 부르지 않고 직책이나 칭호만 부르며
△새 성경은 공식 전례에서도 쓰일 공용 성경이므로 2000년 동안  
하느님의 이름을 '주님’으로 옮겨 불러온 가톨릭교회의 전례 전통에 따랐기 때문이다.
다만 예외로 하느님께서 친히 당신의 이름을 밝히시는 장면 (탈출 3, 15; 6, 2~3)과
'야훼’라는 이름과 합쳐진 이름(야훼 이레, 야훼 니시 등)은 그대로 야훼로 표기했다.

▲출애굽기 → 탈출기, 전도서 → 코헬렛
새 성경에서는 각 책의 제목도 부분적으로 수정됐다.
공동번역본의 ‘출애굽기’를 ‘탈출기’로 바꿨다. ‘
출애굽기’를 우리말 어법에 맞게 고치면, '이집트 탈출기'로 표현해야 한다.
그러나 ‘엑소도스’는 과거에 한 번 이뤄진 이집트 탈출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구약성서 시대에 제2 이사야는 하느님 백성이 바빌론에서 귀향하는 것을
제2의 엑소도스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전도서’를 ‘코헬렛’으로 바꿨다.
전도서라는 이름은 1장 1절의 코헬렛이라는 히브리말에 기인한다.
코헬렛은 '집회의 연사' '대변인' '수집가' 등 여러 뜻으로 해석되나
그 뜻이 확실하지 않다.
그래서 책 이름이자 동시에 본문에도 나오는 이 명칭을 일관성 있게
'코헬렛'으로 옮겼다.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신약성경 서간 제목도 대폭 바뀌었다.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디도에게 보낸 편지''야고보 편지' 식의 표현은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디도에게 보낸 서간' '야고보 서간'과 같은 표현으로 바로 잡았다.

▲현대적 어법
예스러운 표현들은 운문에서 ‘…소서.’ ‘…리라.’ 등 한 두 가지만
예외적으로 남기고, 산문에서는 모두 요즘의 어법으로 고쳤다.
시편도 이에 맞춰 수정했다.

▲그녀 → 그, 그 여자, 그 여인

3인칭 대명사'그녀'는 쓰지 않으며, '그, 그 여자, 그 여인'으로 옮기거나
이름을 쓴다.

▒ 성경 목차
새 성경 각 책의 순서는 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을 따랐다.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름 등 고유명사도 공동번역 성서 이후
변화된 외래어 표기법을 반영해 바뀌었다.
이에 따라 성경 순서 표기도 변화가 있었다.
(공동번역 성서→성경)
출애급기→탈출기
말라기서→말라키서
토비트→토빗
루가복음서→루카복음서
에스델→에스테르
고린토서(이하 약칭)→코린토서
전도서→코헬렛
갈라디아서→갈라티아서
미가서→미카서
필립비서→필리피서
하바꾹서→하바쿡서
골로사이서→콜로새서
하깨서→하까이서
데살로니카서→테살로니카서
즈가리야서→즈카르야서
디모테오서→티모테오서

▒ 주요 인물
성경의 외국말 고유명사는 정부에서 발표한 ‘외래어 표기법’
(문교부 고시 제85-11호)을 따랐다. 아울러 원천 언어의 고유 명사나 특수 용어를 수용 언어인
한글의 글자 범위 안에서 적어보려는 '편의 음역'을 번역 원칙으로 해
고유명사의 표기를 국어화하는 지향을 두었다.
이에 따라 주교회의에서 확정한 용어와 공동 번역 등
현대 성경 번역에서 널리쓰이는 관용을 폭넓게 존중했다.
(공동번역 성서→성경)
창세 10, 1 (야벳→야펫)
창세 24, 15 (리브가→레베카)
창세 25, 26 (에사오→에사우)
창세 34, 23 (시므온→시메온)
창세 38, 6 (다말→타마르)
창세 38, 30 (베레스→페레츠)
창세 43, 14 (베냐민→벤야민)
창세 48, 1 (에브라임→에프라임)
판관 16, 4 (데릴라→들릴라)
히브 7, 11 (멜키세덱→멜키체덱)
1사무 4, 2 (불레셋→필리스티아인)
1사무 13, 16 (요나단→요나탄)
1열왕 11, 26 (여로보암→예로보암)
2열왕 15, 8 (즈가리야→즈카르야)
요한 1, 50 (나다나엘→나타나엘)
요한 3, 1 (니고데모→니코데모)
사도 16, 1 (디모테오→티모테오)
갈라 4, 24 (하갈→하가르)

▒ 주요 지명
외래어 지명은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음역하되
교과서나 국어사전에 수록되어 있는 것, 공식기관에서 출판한 용례집에
들어있는 것 등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교회 안에서 오랫동안 씌어
귀에 익숙한 것은 관용으로 받아들였다.
(공동번역성서→성경)
창세 28, 3 (베델→베텔)
창세 33, 18 (세겜→스켐)
탈출 17, 1 (르비딤→르피딤)
민수 12, 1 (미리암→미르얌)
여호 1, 14 (예리고→예리코)
요나 3, 1•2 (니느웨→니네베)
요한 1, 51 (가나→카나)
사도 17, 1 (데살로니카→테살로니카)
사도 17, 10 (베레아→베로이아)
사도 18, 1 (고린토→코린토)
갈라 2, 3 (갈라디아→갈라티아)
1사무 27, 3 (가르멜→카르멜)
묵시 2, 12 (베르가몬→페르가몬)



  1. 회원 가입 때 문제가 생기면

    Date2021.09.13 By박철현 Views175
    read more
  2. 긴급 공지

    Date2020.05.09 By박철현 Views321
    read more
  3. 로그인 하셔야만 보실 수 있는 게시판이 있습니다

    Date2018.09.09 By박철현 Views419
    read more
  4. 행복은 소유가 아니라 존재다

    Date2012.06.04 By한세상 Views1573
    Read More
  5. 정진석(니콜라우스) 추기경님

    Date2006.02.23 By남궁춘배 Views1573
    Read More
  6. 스위스 피정

    Date2003.09.03 By이제민 Views1572
    Read More
  7. 한국여자 Hockey 국가대표 선수팀 함부르크에서 친선경기

    Date2004.07.10 By김대현 Views1571
    Read More
  8. 가톨릭성가 가사 수정 안내

    Date2009.04.13 By남궁춘배 Views1568
    Read More
  9. 한인회 소식

    Date2008.08.04 By남궁춘배 Views1568
    Read More
  10. 여기는 한국

    Date2003.10.08 By이제민 Views1568
    Read More
  11. 행사를 위한 수고

    Date2008.06.16 By운영자 Views1564
    Read More
  12. 희망의 문

    Date2007.08.02 By 최복현 Views1561
    Read More
  13. 영성피정 안내

    Date2007.01.15 By남궁춘배 Views1560
    Read More
  14. 안녕하세요

    Date2003.11.02 By공지영 Views1559
    Read More
  15. 성경의 용어가 바뀐 것이 많습니다

    Date2008.01.13 By남궁춘배 Views155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97 Next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