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르크 한인 천주교회


로그인

2020.07.03 21:50

토마스 사도 축일에

조회 수 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살아가면서 하느님의 부재 체험과 함께

‘주님께선 어디 계시는가?’ 하는 의구심으로 방황했던 때가 있었을 것입니다.

‘그분이 과연 내 기도를 듣고 계실까?

그분이 과연 나와 함께 있기나 한 것일까?

그분이 과연 내 삶을 당신 사랑의 섭리로 이끌어 주고 계실까?’

이러한 의심은 예수님의 죽음 앞에서 제자들이 가장 크게 느꼈던 부분입니다.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을 목격한 제자들은 충격과 허탈감에 빠집니다.

하지만 제자들은 한 사람씩 다시 모여 공동체를 이루면서,

비록 두려움에 문을 걸어 잠글지언정

제자 공동체를 형성한 후 함께 머무릅니다.

바로 그 자리에 예수님께서는 ‘평화’를 가지고 오셨습니다.

그렇다면 신앙에 대한 의구심과 절망에 빠져 방황하던 때,

과연 우리는 어디에 있었을까요?

오늘 우리가 축일을 지내고 있는 성 토마스 사도는

제자들과 함께 있지 않았습니다.

자기도 없던 그때, 예수님께서 오셨던 것이 못내 아쉬웠을 것입니다.

그래서 토마스 사도의 말은 예수님의 부활에 대한 부정이라기보다는

아쉬움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 토마스 사도를 위해 예수님께서는 다시 오십니다.

한 사람을 배려해주시는 예수님의 모습이 참 아름답습니다.

삶이 어두워지는 저녁과 같은 어수룩한 인생길에 방황했다가

신앙의 길을 벗어나 쉬고 있는 많은 신자들이 있습니다.

어쩌면 토마스 사도 같은 그 사람들에게도

예수님께서 평화를 선물로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하긴 예수님께서는 그런 사람들의 마음을 계속 두드리고 계실지도 모릅니다.

닫혀 있는 그 마음으로는 의심은 계속 의심으로만 머물 것입니다.

무엇보다 의심의 터널을 벗어날 수 있어야 합니다.

의심의 길고 긴 터널을 힘겹게 통과하고 나면

밝은 빛으로 다가오는 평화를 만날 수 있을 것입니다.

토마스 사도의 불신은 예수님을 만난 후 확신으로 바뀝니다.

우리의 의심과 불안도 예수님께서 함께 한다는 걸 느낄 수만 있다면

확신으로 가득 찰 수 있을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회원 가입 때 문제가 생기면 박철현 2021.09.13 175
공지 긴급 공지 1 박철현 2020.05.09 322
공지 로그인 하셔야만 보실 수 있는 게시판이 있습니다 5 박철현 2018.09.09 429
1740 흙 길 박철현 2018.08.20 7
1739 나무가 잘 자라려면 박철현 2018.08.20 14
1738 엇갈린 관목가지 꽃나라2 2018.08.21 2
1737 걸어서 여행을 하다가 꽃나라2 2018.08.21 4
1736 사랑도 행복도 꽃나라2 2018.08.21 5
1735 내 뜨락을 휘감고 꽃나라2 2018.08.21 1
1734 여름 숲길에서 꽃나라2 2018.08.21 2
1733 어린나무 어쩌라고 꽃나라2 2018.08.21 2
1732 하루도 편한 날이 없는 꽃나라2 2018.08.21 3
1731 목구멍이 포도청 꽃나라2 2018.08.21 5
1730 푸른 파도에게 꽃나라2 2018.08.21 2
1729 영혼을 더럽히는 꽃나라2 2018.08.21 13
Board Pagination Prev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297 Next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