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르크 한인 천주교회


로그인

2020.04.09 18:50

성목요일

조회 수 3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성목요일에는 보통 두 대의 미사가 있습니다.

오전에는 주교님과 사제단이 봉헌하는 성유 축성 미사가 있고,

저녁에는 주님 만찬 성목요일 미사가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는 이런 전례 규칙이 지켜져

성목요일이 되면 오전에는 주교좌성당으로 달려가 함께 미사를 봉헌하고

점심을 먹고 나면 다시 본당으로 되돌아와 저녁미사를 준비합니다.

그래서 몸도 마음도 좀 분주해집니다.

그런데 오스트리아도 그렇고 독일에서도

성유 축성 미사는 보통 목요일에 하지 않고 다른 날에 하더군요.

오스트리아 그라츠 세카우 교구에서는 수요일에 성유 축성 미사를 봉헌하고,

여기 함부르크 대교구에서는 화요일에 성유 축성 미사를 봉헌합니다.

물론 올해에는 이마저도 할 수 없게 되었지만

성유 축성 미사를 성목요일에 하지 않는 게 유럽에 있을 때는

좀 어색했습니다.

오전에 잠시 유튜브를 봤는데

서울대교구에서는 오늘 사제단만 모여서

성유 축성 미사를 봉헌하고 있었습니다.

마산교구에서는 예수 성심 대축일로 연기했는데

아마도 서울대교구에서는 사제단만 모인다는 전제 하에

미사를 봉헌하게 된 것 같습니다.

여기 함부르크 대교구에서도 지난 화요일에 성유 축성 미사를 봉헌하지 않고

이후로 연기되었습니다.

언제가 될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아무튼 성유 축성 미사는 일 년 동안 사용하게 될 성유를 축성하는 동시에

사제단의 서약갱신식이 있습니다.

사제들은 서품 때 순명과 정결에 대한 서약을 하게 되는데

일 년에 한 번씩 성유 축성 미사 때 그 서약을 다시 한 번 되새깁니다.

아시다시피 수도회는 순명, 정결, 가난에 대한 서약을 하는데

교구 사제들은 가난에 대한 서약은 하지 않습니다.

그런 까닭에 교구 사제가 선종한 뒤에

성인으로 추대되는 경우는 지극히 드뭅니다.

가난에 대한 서약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부유하게 산다는 걸 의미하지는 않지만

다만 세상 안에서 살다 보면 너무 가난한 것도

때로는 궁색하게 보일 가능성도 있으니 따로 서약을 하지 않는 것뿐입니다.

사제들도 당연히 가난의 정신을 살아야 합니다.

가난의 정신으로 산다는 건 물질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느님과 하느님의 나라를 위해 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가난에 대한 서약을 하지는 않지만 그 정신으로 살아야 합니다.

어찌 되었건 성유 축성 미사뿐 아니라

주님 만찬 성목요일 미사도 조신부님과 둘이서 봉헌을 하고 나니

확실히 성주간의 의미가 저에게서 조금은 흐릿해진 것도 사실입니다.

어쩔 수 없는 일이지요.

부디 성주간 잘 보내시고, 기쁜 부활을 맞이하시길 기원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회원 가입 때 문제가 생기면 박철현 2021.09.13 20808
공지 긴급 공지 1 박철현 2020.05.09 6225
공지 로그인 하셔야만 보실 수 있는 게시판이 있습니다 5 박철현 2018.09.09 8807
966 사목협의회 게시판은 로그인을 하셔야 볼 수 있습니다. 내용 없음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 2013.11.21 2867
965 소공동체 기도모임 시작...!! 최한우 바오로 2013.11.19 1681
964 10월의 마지막 밤을...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 2013.10.31 1429
963 침묵 file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 2013.10.24 1643
962 2013년 독일 사목자 회의를 마치며... 1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 2013.10.18 1597
961 함부르크 본당 전 공동체 청년 신앙연수 4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 2013.10.01 2115
960 묵주기도 file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 2013.10.01 1535
959 말(言)의 온도를 높이게 도와 주소서. 1 file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 2013.09.03 1412
958 수확의 때를 맞으며... 1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 2013.08.29 1607
957 나를 만들어 준 것들 한세상 2013.08.27 1451
956 실수는 되풀이된다 1 한세상 2013.08.20 1381
955 성모승천대축일을 앞두고.. 1 file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 2013.08.13 1664
Board Pagination Prev 1 ...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 299 Next
/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