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평일미사 때에 
						낯선 젊은 학생이 한 명 왔습니다. 
						  
						함부르크에 온지 19일 째 되는데 
						평일미사를 찾아온 것입니다. 
						  
						이런 분들을 보면 
						참 고맙다는 생각부터 먼저 듭니다. 
						  
						외국에 나와서 공부를 하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한국에 있을 때보다 
						더 열심히 성당에 나오게 되는 
						학생들이 있는 반면, 
						한국에 있을 때는 열심히 신앙생활을 했지만 
						외국에 와서는 신앙생활만큼은 
						영 뒷전인 학생들도 있습니다. 
						  
						아직까지 통계를 내본 적이 없어서 
						어느 학생들 그룹이 
						사회적으로 성공하는지 알 수 없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한국에서도 외국에서도 
						별 차이 없는 신앙생활을 하는 
						학생들이 더 사랑스럽습니다. 
						  
						저는 그랬습니다. 
						고3이 되어서도 
						성당에서의 삶은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물론 신학교를 가겠다는 
						결심이 있었으니 그랬겠지만 
						만일 신학교에 가지 않았다 하더라도 
						저의 고3 신앙생활은 
						별 차이가 없었을 것입니다. 
						  
						나중에는 수녀님까지 저에게 
						"아니 신학교에 간다더니 
						성당에 이렇게 열심히 나오는 건 좋은데, 
						그러다 혹시 시험에 떨어지면 어떻게 해."라는 
						우려 섞인 말씀을 하실 정도였습니다. 
						  
						그래도 괜찮았습니다. 
						저는 그 때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내가 하루 종일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는 것도 아닌데, 
						성당에 나오는 한두 시간은 
						충분히 스스로에게 허락할 수 있는 시간이야. 
						적어도 집중력에는 도움이 될 테니까.' 
						  
						정말 그렇게 생각했고, 
						생각해 보면 실제로도 
						성적이 크게 떨어지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성당에 못 가서 
						오히려 마음의 짐을 쌓기보다는 
						차라리 성당 가는 그 시간은 
						도움이 되는 시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게 저에게는 실제로도 도움이 되더군요. 
						  
						어쩌면 그래서 신부가 되는 일이 
						다른 신학생들에 비해 
						좀 더 수월했을 수도 있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에 
						공부 때문에 다른 것을 희생하는 경우도 
						종종 보았습니다. 
						  
						어느 것이 그 사람에게 
						정말로 도움이 되는지는 본인만이 알겠지요. 
						  
						아무튼 평일미사까지 찾아온 젊은 여학생이 
						저는 고마웠습니다. 
						  
						미술공부, 그 중에서도 조소(조각가)공부를 
						하신다더군요.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는 못했지만 
						이렇게 성당을 찾아왔다는 것 
						하나 만으로도 반가웠습니다. 
						확실히 평일미사 때 늘 보던 얼굴도 반갑지만 
						새로운 얼굴을 보는 일도 반가운 일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