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르크 한인 천주교회


로그인

조회 수 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에게 닥친 시련들을 피하고 싶어 합니다.

 

왜 이런 시련이

나에게 찾아왔는지에 대한 의문보다는

당장 닥친 시련 때문에

힘겨워하고 쓰러지려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언제나

먼 훗날이 되어서는 이렇게 말하곤 합니다.

"그 시련이 오늘의 나를 만들었습니다."라고.

 

우리는 늘 그런 식이지요.

시련을 당하고 있을 때는 시련의 의미를 모르지만

시간이 흐른 후에

그 시련이 준 참 의미를 비로소 깨닫게 되는.

 

시련은 늘 그 시련을 이겨낼 수 있는 힘과 용기,

그리고 커다란 교훈과 함께 찾아오는데

우리는 종종 그 사실을

너무 늦게 깨달아 버리고 맙니다.

 

이제부터라도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요?

먼 훗날이 되어서야

시련이 자신을 만들었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지금 당장 이 시련이

내 삶의 밑거름이 되어줄 것이라는

믿음의 눈을 떠야 하지 않을까요?

먼 훗날이 아니라 지금 당장.

 

 

 

- 박성철님 -

 

 

 

 

 

 


  1. No Image notice by 박철현 2021/09/13 by 박철현
    Views 175 

    회원 가입 때 문제가 생기면

  2. 긴급 공지

  3. 로그인 하셔야만 보실 수 있는 게시판이 있습니다

  4. 식물의 자식 사랑

  5. No Image 14May
    by 박철현
    2020/05/14 by 박철현
    Views 59 

    시험

  6. 시작은 희망의 또 다른 이름

  7. 시작과 끝

  8. No Image 28Jan
    by 박철현
    2022/01/28 by 박철현
    Views 20 

    시작

  9. No Image 28Oct
    by 박철현
    2020/10/28 by 박철현
    Views 36 

    시몬과 유다 사도 축일에

  10. No Image 19May
    by 류신
    2004/05/19 by 류신
    Views 1010 

    시로 읽는 세상 원고

  11. 시련이 없는 인생

  12. 시련은 삶의 밑거름입니다

  13. 시련 중에도

  14. No Image 22Oct
    by 박철현
    2021/10/22 by 박철현
    Views 11 

    시대의 징표

  15. 시대를 고민하는 사제들의 기도와 호소

Board Pagination Prev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 298 Next
/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