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르크 한인 천주교회


로그인

조회 수 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많은 장애인이

아직도 편견과 차별 속에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조선 시대에는 오히려 장애인들을 위한

훌륭한 정책이 많았다고 합니다.

 

장애인과 그 부양자에게는

각종 부역과 잡역을 면제했고,

장애인에 대한 범죄는 가중 처벌되었습니다.

 

그렇다고 장애인들에게

무조건 편한 특혜만 준 것은 아니었습니다.

 

나라의 길흉화복을 점치는 점복사,

불경을 외워 읽어주는 독경사,

물건을 만드는 공방의 공인,

악기를 다루는 악공 등으로

스스로 살아갈 수 있도록 교육을 했습니다.

 

태종 때는

명통시(明通侍)라는 시각장애인 단체를

조직하고 지원하여

가뭄 때 지내는 기우제 등 국가를 위한 행사를

주관하도록 하였습니다.

 

관직 등용에도 차별이 없었습니다.

조선 초 우의정과 좌의정을 지낸 허조는 척추장애인,

중종 때 우의정을 지낸 권균은 간질장애인,

광해군 때 좌의정을 지낸 심희수는 지체장애인,

영조 때 대제학, 형조판서에 오른 이덕수는

청각장애인이었지만

모두 훌륭히 역사를 빛내준 사람들이었습니다.

 

 

 

 

 


  1. No Image notice by 박철현 2021/09/13 by 박철현
    Views 175 

    회원 가입 때 문제가 생기면

  2. 긴급 공지

  3. 로그인 하셔야만 보실 수 있는 게시판이 있습니다

  4. 나의 천당은 이런 곳입니다

  5. 이런저런 생각에 휘둘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삶의 길잡이

  7. 그대가 내 안에 들어와

  8. 다 이렇게 살면 될 것을

  9. 마주 보고 살아갔으면 합니다

  10. 꽃에게서 배우십시오

  11. 고통은 인간을 성숙하게 하고

  12. 부 고

  13. 어둠이 아름다운 이유

  14. 세상에 버릴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15. 고민하지 마십시오

Board Pagination Prev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297 Next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