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이 쉽지 않습니다. 
												요즘 셋째 주, 주일미사 후에는 
												제가 아이들 교리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이들 중에는 
												한국말은 전혀 할 수 없는 친구들이 있고 
												아직은 한국말이 더 편한 친구들이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에게 
												교리를 하려고 하니 한국말과 독일어를 
												적절히 섞어 가면서 해야 하는데 
												그게 생각 만큼 쉬운 일이 아닙니다. 
												  
												어제는 전례 주년과 제의 색깔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다지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아이들에게 
												설명을 해 주려고 애를 먹었습니다. 
												  
												아직은 아이들과 시간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지금은 건성건성 듣고 있는 것처럼 보여도 
												그것이 언젠가는 아이들에게 
												작은 울림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저는 어렸을 때 
												교리를 참 열심히 듣는 아이였습니다. 
												귀를 쫑끗 세우고 
												선생님의 말씀을 하나라도 놓칠까 싶어 
												주의를 기울이던 그런 아이였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어떤 내용들은 마음 속 깊이 자리 잡고 있다가 
												문득문득 떠올릴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제일 중요한 건 
												우선 아이들과 친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야만 아이들이 제 말에 
												귀를 기울이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시간이 깊어질수록 
												서로 더욱 서먹해지는 관계가 있는가 하면 
												시간이 깊어질수록 
												서로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그런 소중한 만남도 있는 법입니다. 
												  
												천천히,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들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사랑은 마주 보는 것이기도 하지만 
												같은 높이에서 한 방향을 향해 
												함께 바라보는 것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